1989년 한국프로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9년 한국프로야구는 7개 구단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정규 시즌에서 빙그레 이글스가 1위를 차지했다. 해태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선동열이 MVP, 박정현이 신인왕을 수상했다. 김성한, 김일권 등 각 포지션별 골든 글러브 수상자가 배출되었고, 총 관중 수는 2,883,669명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야구 - 1989년 일본 시리즈
1989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긴테쓰 버펄로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고마다 노리히로가 MVP를, 아라이 히로마사가 감투상을 수상했다. - 1989년 야구 - 1989년 한국시리즈
1989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빙그레 이글스와 플레이오프 승리팀 해태 타이거즈의 대결이며, 해태 타이거즈가 4승 1패로 승리하여 한국시리즈 4연패를 달성했다. - KBO 리그 시즌 - 2017년 KBO 리그
2017년 KBO 리그는 FA 제도 개편, 감독 교체, 비디오 판독 시스템 개선 등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선빈의 고타율, 최정의 홈런 및 장타율, 러프의 타점, 피어밴드의 평균자책점 등 주요 기록들이 나왔다. - KBO 리그 시즌 - 2000년 한국프로야구
2000년 한국프로야구는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고 매직리그와 드림리그로 나뉘어 정규시즌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통합 1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 KBO 리그 - 키움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는 2008년 창단하여 KBO 리그에 참가하는 프로야구단으로, 네이밍 스폰서십을 통해 운영되며 서울 고척 스카이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정규 시즌 2위 3회와 한국시리즈 준우승 3회를 기록했다. - KBO 리그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1989년 한국프로야구 | |
---|---|
1989년 한국프로야구 | |
![]() | |
시즌 정보 | |
개막일 | 1989년 4월 8일 |
종료일 | 1989년 10월 14일 |
참가 구단 | 7개 |
경기장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인천 대전 전주 마산 춘천 청주 군산 |
텔레비전 중계 | KBS 1TV MBC TV SBS TV |
라디오 중계 | KBS 제2라디오 MBC 라디오 SBS 라디오 (1991년 개국) |
경기 결과 | |
정규 시즌 우승 | 해태 타이거즈 |
한국시리즈 우승 | 해태 타이거즈 |
한국시리즈 준우승 | 빙그레 이글스 |
개인 기록 | |
최우수 선수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신인왕 | 박정현 (태평양 돌핀스) |
다승왕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21승) |
평균자책점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17) |
최고 승률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0.955) |
최다 탈삼진 |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214개) |
최다 안타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121개) |
최고 타율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0.350) |
최다 홈런 |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35개) |
최다 득점 | 홍문종 (OB 베어스) (74점) |
최다 도루 |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50개) |
시즌 통계 | |
정규 시즌 관중 | 1,379,416명 |
포스트 시즌 관중 | 62,800명 |
2. 1989년 정규 시즌
wikitable
연도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승차 | 기타 |
---|---|---|---|---|---|---|---|---|---|
1989 | 1위 | 빙그레 이글스 | 120 | 71 | 3 | 46 | 0.604 | 0.0 | |
1989 | 2위 | 해태 타이거즈 | 120 | 65 | 4 | 51 | 0.558 | 5.5 | |
1989 | 3위 | 태평양 돌핀스 | 120 | 62 | 4 | 54 | 0.533 | 8.5 | |
1989 | 4위 | 삼성 라이온즈 | 120 | 57 | 5 | 58 | 0.496 | 13.0 | |
1989 | 5위 | OB 베어스 | 120 | 54 | 3 | 63 | 0.463 | 17.0 | 1~4위에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5~7위는 탈락. |
1989 | 6위 | MBC 청룡 | 120 | 49 | 4 | 37 | 0.425 | 21.5 | |
1989 | 7위 | 롯데 자이언츠 | 120 | 48 | 5 | 67 | 0.421 | 22.0 |
1989년 한국프로야구는 해태 타이거즈, 빙그레 이글스, 태평양 돌핀스, 삼성 라이온즈, OB 베어스, MBC 청룡, 롯데 자이언츠의 7개 구단 체제로 운영되었다. 정규 시즌에서는 김영덕 감독이 이끄는 빙그레 이글스가 압도적인 성적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해태 타이거즈가 2위, 태평양 돌핀스와 삼성 라이온즈가 각각 3, 4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반면, OB 베어스, MBC 청룡, 롯데 자이언츠는 아쉽게도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 1. 1989년 프로 야구 순위
wikitable연도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승차 | 기타 |
---|---|---|---|---|---|---|---|---|---|
1989 | 1위 | 빙그레 | 120 | 71 | 3 | 46 | 0.604 | 0.0 | |
1989 | 2위 | 해태 | 120 | 65 | 4 | 51 | 0.558 | 5.5 | |
1989 | 3위 | 태평양 | 120 | 62 | 4 | 54 | 0.533 | 8.5 | |
1989 | 4위 | 삼성 | 120 | 57 | 5 | 58 | 0.496 | 13.0 | |
1989 | 5위 | OB | 120 | 54 | 3 | 63 | 0.463 | 17.0 | 1~4위에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5~7위는 탈락. |
1989 | 6위 | MBC | 120 | 49 | 4 | 37 | 0.425 | 21.5 | |
1989 | 7위 | 롯데 | 120 | 48 | 5 | 67 | 0.421 | 22.0 |
1989년 정규 시즌 1위는 빙그레 이글스가 차지했으며, 해태 타이거즈, 태평양 돌핀스, 삼성 라이온즈가 그 뒤를 이어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2. 2. 1989년 팀별 기록 순위
2. 2. 1. 1989년 팀별 타율 순위
wikitable순위 | 팀 | 경기 | 타율 | 기타 |
---|---|---|---|---|
1위 | 빙그레 | 120 | 0.276 | 작년 팀 타율 1위 타율 0.283 |
2위 | 삼성 | 120 | 0.272 | 작년 팀 타율 2위 타율 0.278 |
3위 | 해태 | 120 | 0.255 | 작년 팀 타율 3위 타율 0.270 |
4위 | MBC | 120 | 0.252 | 작년 팀 타율 4위 타율 0.266 |
5위 | 태평양 | 120 | 0.249 | 작년 팀 타율 5위 타율 0.261 |
공동 6위 | 롯데 | 120 | 0.247 | 작년 팀 타율 6위 타율 0.260, 롯데와 OB의 타율이 같으므로 공동 6위임. |
공동 6위 | OB | 120 | 0.247 | 작년 팀 타율 7위 타율 0.258, OB와 롯데의 타율이 같으므로 공동 6위임. |
2. 2. 2. 1989년 팀별 평균자책 순위
wikitable
2. 2. 3. 1989년 팀별 득점
wikitable순위 | 팀 | 경기 | 득점 | 기타 |
---|---|---|---|---|
1위 | 빙그레 | 120 | 595 | 작년 팀 득점 1위 득점 516점 |
2위 | 삼성 | 120 | 580 | 작년 팀 득점 2위 득점 506점 |
3위 | 해태 | 120 | 500 | 작년 팀 득점 3위 득점 505점 |
4위 | 태평양 | 120 | 499 | 작년 팀 득점 4위 득점 482점 |
5위 | MBC | 120 | 490 | 작년 팀 득점 5위 득점 418점 |
6위 | OB | 120 | 447 | 작년 팀 득점 6위 득점 408점 |
7위 | 롯데 | 120 | 419 | 작년 팀 득점 7위 득점 387점 |
2. 2. 4. 1989년 팀별 실점
wikitable
2. 2. 5. 1989년 팀별 홈런 개수
wikitable
1989년 한국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는 10월 8일부터 10월 11일까지 열렸다. 정규리그 3위팀 태평양 돌핀스와 정규리그 4위팀 삼성 라이온즈가 맞붙어 태평양이 2승 1패로 승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1989년 포스트 시즌
1989년 플레이오프는 10월 14일부터 10월 17일까지 열렸다. 정규리그 2위인 해태 타이거즈가 준플레이오프 승리팀인 태평양 돌핀스를 상대로 3승 0패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10월 14일 경기에서는 해태가 10-1로 승리했으며, 10월 15일 경기에서는 해태가 1-0으로 승리했다. 10월 17일 경기에서는 해태가 5-1로 승리하며, 3전 전승으로 한국시리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10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해태 타이거즈가 빙그레 이글스를 상대로 4승 1패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5차전은 중립구장인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개최되어 홈팀 없이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태 타이거즈의 박철우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3. 1. 1989년 준플레이오프
1989년 한국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는 10월 8일부터 10월 11일까지 열렸다. 정규리그 3위팀 태평양 돌핀스와 정규리그 4위팀 삼성 라이온즈가 맞붙어 태평양이 2승 1패로 승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2. 1989년 플레이오프
1989년 플레이오프는 10월 14일부터 10월 17일까지 열렸다. 정규리그 2위인 해태 타이거즈가 준플레이오프 승리팀인 태평양 돌핀스를 상대로 3승 0패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10월 14일 경기에서는 해태가 10-1로 승리했으며, 10월 15일 경기에서는 해태가 1-0으로 승리했다. 10월 17일 경기에서는 해태가 5-1로 승리하며, 3전 전승으로 한국시리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3. 3. 1989년 한국시리즈
10월 26일부터 11월 1일까지 해태 타이거즈가 빙그레 이글스를 상대로 4승 1패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5차전은 중립구장인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개최되어 홈팀 없이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태 타이거즈의 박철우가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4. 1989년 주요 기록
1989년 시즌에는 다양한 진기록과 명기록들이 쏟아져 나왔다. 1989년 7월 6일 해태 타이거즈의 선동열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역대 5번째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1989년 6월 18일 해태 타이거즈의 이순철은 OB 베어스를 상대로 역대 3번째 한 이닝 2홈런을 기록했다. 롯데 자이언츠의 한문연과 MBC 청룡의 심재원은 시즌 최소 패스트볼 0개를 기록했다.
1989년 8월 1일 삼성 라이온즈의 김성길은 해태 타이거즈를 상대로 4개의 피홈런을 허용하고도 승리 투수가 되어, 최초 경기 최다 피홈런 승리 투수가 되었다. 1989년 4월 14일 롯데 자이언츠의 김시진은 OB 베어스를 상대로 219개의 투구수를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고, 같은 경기에서 12개의 4사구를 허용하여 경기 최다 4사구 허용 투수가 되었다. 1989년 4월 16일부터 1989년 4월 30일까지 롯데 자이언츠의 서호진은 5연속 경기 구원승을 기록했다.
선동열은 1989년 5월 9일부터 1990년 9월 25일까지 319개의 최다 투구횟수 무피홈런을 기록했다. OB 베어스의 김광수는 1989년 시즌 역대 최소 2루수 실책(2번)과 역대 최고 2루수 수비율(0.996)을 기록했다. 태평양 돌핀스의 이광길은 1989년 시즌 최다 자살(324번, 2루수)을 기록했고, 태평양 돌핀스의 박정현은 시즌 최다 보살(91번, 투수)을, 태평양 돌핀스의 김동기는 시즌 최다 보살(119번, 포수)을 기록했다.
4. 1. 1989년 최고 기록
4. 1. 1. 1989년 투수 부문 최고 기록
wikitext기록 | 선수 | 소속팀 | 기타 |
---|---|---|---|
최다 승리 투수 | 선동열 | 해태 | 21승 3패(9선발승) |
최다 선발승 | 박정현, 이강철 | 태평양, 해태 | 15선발승 |
최우수 평균 자책 | 선동열 | 해태 | 평균자책:1.17 |
최다 탈삼진 | 선동열 | 해태 | 탈삼진:198개 |
최우수 구원 | 김용수 | MBC | 구원승 4승+세이브 22=SP 26 |
최다 세이브 | 김용수 | MBC | 세이브:22세이브 |
4. 1. 2. 1989년 타자 부문 최고 기록
wikitable기록 | 선수 | 소속팀 | 기타 |
---|---|---|---|
최고 수위타자 | 고원부 | 빙그레 | 타율:0.327 |
최다 안타 | 이강돈 | 빙그레 | 안타:137개 |
최다 홈런 | 김성한 | 해태 | 홈런:26개 |
최다 타점 | 유승안 | 빙그레 | 타점:85점 |
최다 득점 | 김성한 | 해태 | 득점:93점 |
최다 도루 | 김일권 | 태평양 | 도루:62개 |
최고 장타율 | 김성한 | 해태 | 장타율:0.512 |
최고 출루율 | 한대화 | 해태 | 출루율:0.409 |
5. 1989년 수상 내역
1989년 한국프로야구 정규 시즌 MVP는 선동열이 수상하였고, 신인왕은 박정현이 차지하였다. 올스타전 MVP는 허규옥에게 돌아갔으며, 한국시리즈 MVP는 박철우가 수상했다.
각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되는 골든 글러브는 선동열(투수), 유승안(포수), 김성한(1루수), 강기웅(2루수), 한대화(3루수), 김재박(유격수), 김일권, 이강돈, 고원부(이상 외야수), 박철우(지명타자)가 수상했다.
5. 1. 1989년 골든 글러브 수상자
wikitable
```
각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에게 골든 글러브가 수여되었다.
6. 1989년 한국프로야구 관중 현황
wikitable
```
1989년 시즌 총 관중 수는 2,883,669명이었다. 롯데 자이언츠가 584,781명으로 최다 관중을 기록했다.
7. 1989년 진기록 명기록
OB와 해태가 역대 경기 최소 타석(55타석)을 기록하였는데, OB가 27타석, 해태가 28타석이었다. OB와 태평양은 역대 경기 최소 타수(51타수)를 기록하였는데, OB가 26타수, 태평양이 25타수였다. 삼성은 MBC전에서 최초로 한 이닝 선발 전원 득점을 기록하였다.
8. 함께 보기
wikitext
- 1989년 한국프로야구/포스트시즌
- 1989년 한국프로야구/준플레이오프
- 1989년 한국프로야구/플레이오프
- 1989년 한국시리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